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피보나치 함수
- 백준 1003
- 백준
- BOGGLE
- 백준 로프
- 백준 boggle
- 백준 낚시왕
- 백준 피보나치 함수
- 백준 9202
- 백준 1005
- 백준 주차장
- C++
- 라피씬
- 백준 1로 만들기
- 라피신
- 백준 1348
- 백준 1068
- 백준 1463
- 백준 트리
- ACM Craft
- 42서울 후기
- 백준 17143
- 라피신 후기
- 백준 9095
- 백준 2217
- 42서울 라피신 후기
- 백준 경비행기
- 42서울
- 백준 2585
- 백준 #백준4963 #섬의 개수
목록전체 글 (16)
프로그래머의 개발노트
끝날 것 같지 않았던 라피신이 저번주 금요일에 끝이 났습니다.. 이 기억과 여운이 가시기 전에 글로 정리해야 겠다는 생각이 생겼고, 제 글을 읽고 이미 경험한 피씨너 분들에게는 그때 그랬었지.. 하는 추억 회상(?)을. 아직 경험하지 못한 피씨너 분들에게는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제 느낀점 위주로 적는 것이기 때문에 원하시는 정보를 드리지 못할 수 있습니다. 1 주차 개포동으로 갈 줄 알았지만, 한 달동안 공부한 장소는 강남역 대륭 서초타워였다. 사회적 거리두기 1단계로 내려갔었지만, 수도권은 1.5단계로 적용되어 다중이용시설 이용에 제약이 생겨 42서울은 격일제로 진행되었다. 그로 인해, 1그룹(월, 수, 토)과 2그룹(화, 목, 일)으로 나누어 진행이 되었는데, 나는 2그룹 이었다..
https://www.acmicpc.net/problem/1068 1068번: 트리 첫째 줄에 트리의 노드의 개수 N이 주어진다. N은 5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둘째 줄에는 0번 노드부터 N-1번 노드까지, 각 노드의 부모가 주어진다. 만약 부모가 없다면 (루트) -1이 주어진다 www.acmicpc.net (맨 밑에 수정본이 있습니다. 끝까지 읽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수정 : 2021-02-09)) 후.. 이 문제를 풀고 내가 많이 부족하다고 느꼈다. 자료구조 트리로 다시 풀고, dfs도 정의도 확실히 공부할 것이다. 또한 if else문으로써 자료형이나 초기화된 값을 사용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인지에 대한 고민을 하고, 만약 올바르다고 판단될 경우 나만의 방법을 확립할 예정이다. 1 ..
https://www.acmicpc.net/problem/2217 2217번: 로프 N(1≤N≤100,000)개의 로프가 있다. 이 로프를 이용하여 이런 저런 물체를 들어올릴 수 있다. 각각의 로프는 그 굵기나 길이가 다르기 때문에 들 수 있는 물체의 중량이 서로 다를 수도 있다. 하지만 www.acmicpc.net 사실 문제를 처음 봤을때 리스트를 그냥 소팅하고 앞에서부터 인덱스를 증가시켜가며 인덱스 값에 (리스트의 길이 - 현재 인덱스)를 곱한다음 최대값을 찾으면 되겠다 생각이 바로 들었다. 1 2 3 4 5 6 7 8 9 N = int(input()) li = [] for _ in range(N): li.append(int(input())) li.sort() for i in range(N): li[..
https://www.acmicpc.net/problem/4963 4963번: 섬의 개수 문제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져 있는 섬과 바다 지도가 주어진다. 섬의 개수를 세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한 정사각형과 가로, 세로 또는 대각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사각형은 걸어갈 수 있는 사 www.acmicpc.net 처음에 이 문제를 접했을때 dfs를 사용하려 마음 먹었다. 1. 스택에 정점의 인덱스 값을 넣고 visit_check 함수에 들어간다. 2. 스택에 값을 팝하면서 변수 i,j에 정점의 인덱스를 저장한다. 3. i,j의 값이 리스트 범위를 넘어가는 곳이거나, 방문했던 곳이면 해당 값을 버리고 스택에서 다시 값을 꺼낸다. 4. 스택의 값이 모두 비었다면 다시 돌아와서 isl 변수에 1을 더한다. 처음 스택에..
https://chanhohan.github.io/ 개발자의 노트 Write an awesome description for your new site here. You can edit this line in _config.yml. It will appear in your document head meta (for Google search results) and in your feed.xml site description. chanhohan.github.io 개발에 관련된 글은 저 곳에 적을 예정이다. (시간 내서 틈틈이 해야지.. ) + 알고리즘 코드 - https://gist.github.com/chanhohan/
트리의 접근 "트리는 계층적 관계를 표현하는 자료구조" ★ 트리 관련 용어 - node : 트리의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A, B, C, D, E와 같은 요소 - edge : 노드와 노드를 연결하는 연결선 - root node : 트리 구조에서 최상위에 존재하는 A와 같은 노드 - terminal node : 아래로 또 다른 노드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C, D, E와 같은 노드 - internal node : terminal node를 제외한 모든 노드. A, B와 같은 노드
●스택의 이해 스택의 가장 중요한 특성 - "먼저 들어간 것이 나중에 나온다 ! " LIFO (Last In First Out) 위의 테이블은 D->C->B->A 순으로 들어온 것이고, 나갈때는 A->B->C->D 순으로 나가게 된다. 해당 값은 바닥부터 채워지고, 나갈때는 위에서 부터 나가게 된다. 이런 형태를 LIFO라고 하는데, "나중에 들어와서 처음으로 나간다" 라는 뜻이다. ●스택 ADT의 정의 우리가 스택으로 할 수 있는 일은 한정적이다. 1. PUSH -> 스택에 값을 넣는다 2. POP -> 스택에서 값을 빼낸다 3. PEEK -> 이번에 꺼낼 값이 무엇인지 확인한다. 이것은 스택의 보편적인 ADT이다. (ADT란 Abastract Data Type으로, 자료들과 그 자료들에 대한 연산들을..
▶자료구조란? 프로그램이란 데이터를 표현하고, 그렇게 표현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입니다. 데이터의 표현이란 '데이터의 저장'을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이렇듯 '데이터의 저장'을 담당하는 것이 자료구조입니다. 예를 들면, > int a = 10; 이 코드도 사실은 정수를 저장하기 위한 자료구조 입니다. ▶자료구조의 분류 선형구조 --- 리스트, 스택, 큐 | 비선형구조 --- 트리, 그래프 파일구조 --- 순차파일, 색인파일, 직접파일 | 단순구조 --- 정수, 실수, 문자, 문자열 *선형 자료구조 : 데이터를 선의 형태로 나란히 혹은 일렬로 저장하는 방식 *비선형 자료구조 : 데이터를 나란히 저장하지 않은 구조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자료구조가 '데이터의 표현 및 저장방법'을 뜻한다면, 알고리즘은 표현 및 ..